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전시명: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작가: 강국진, 김구림, 김영진, 김인환, 김차섭, 김한용, 남상균, 문복철, 박현기, 송번수, 서승원, 성능경, 신학철, 심문섭, 여운, 이강소, 이건용, 이승조, 이승택, 이태현, 이향미, 이현재, 임응식, 정강자, 정찬승, 최명영, 최붕현, 최병소, 하종현, 한영섭
기획: 국립현대미술관 강수정 학예연구관,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 안휘경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
주최: 국립현대미술관-솔로몬 R. 국겐하임미술관 뉴욕 공동기획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 6,7 전시실 및 전시마당
기간: 2023.05.26-2023.07.16
Title: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Artist: Kang Kukjin, Kim Kulim, Kim Young-Jin, Kim In Hwan, Kim Cha Seob, Kim Han Young, Nam Sang Gyun, Moon Bok Cheol, Park Hyun Ki, Song Burn-Soo, Suh Seungwon, Sung Neung Kyung, Shin Hak-Chul, Shim Moon-Seup, Yeo-un, Lee Kang-So, Lee Kun-Yong, Lee Seung-Jio, Lee Seung-Taek, Lee Tae Hyun, Lee Hyang-Mi, Lee Hyun Jae, Lim Eung Sik, Jung Kangja, Chung Chanseung, Choi Myoung-Young, Choi Boong Hyung, Choi ByungSo, Ha Chong-Hyun, Han Young Sub
Curated by: Kang Soojung, Senior curator at MMCA, and Kyung An, Associate Curator, Asian Art at the Guggenheim Museum
Organized by: the MMCA and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Venue: MMCA Seoul, Korea
Dates: 26.05.2023-16.06.2023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전은 청년작가들의 선언으로 시작된 한국의 전위적 실험 미술을 동시대로 소환하여, 초(超) 국가적으로 그 의미를 묻고자 기획되었다.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 뉴욕과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에서는 29명의 작가가 제작한 99점의 작품과 31점의 아카이브 자료를 소개한다. 특히 당시 한국 사회와 ‘젊은 그들’의 창작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해 주목하며, 이들의 작품이 오늘의 삶과 미술에 어떤 의미인가를 고민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 문화사를 토대로 주제를 구성하고, 작품의 이미지들로 서사구조를 만들어 그 시대의 입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살려내고자 하였다.
한국 실험미술이 태동될 당시, 국제 사회는 6.8혁명, 반전 평화운동, 페미니즘, 제 3세계 문제 등으로 뜨거운 인식의 전환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한국은 차가운 남북 분단의 이념 대립 속에서, 개발독재 정권의 압축적 근대화와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사회 변동을 맞이하고 있었다. 이때 젊은 그들, 즉 청년 작가들은 이에 상응(相應)하며, ‘실험미술’의 장(場)을 형성하였고, 개별화된 주체인 “나”를 중심으로, 보다 확장된 세계를 열망했다. 이들은 국가 재건의 거대 담론 속에서, 일상의 삶 속에서 예술의 의미를 찾았다. 또 4월 혁명의 세대로서 예술과 사회의 소통을 주장하며, 보수화된 기성세대의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반발하였다. 이들은 해외 미술을 수용하며 자기 언어화 하였으며, 반-미학과 탈 매체를 선언하며, 1960년대, 한국의 전위적 ‘실험미술’의 시대를 열었다. 이때 청년들에게 ‘전위’는 인간의 새로운 존재 질서와 감성의 지평을 확장시키기 위한 미래를 의미했고, 이들의 사회와 미술에 대한 발언과 모든 전복적 시도를 가능하게 한 대 명제였다. ‘실험’은 다양하고 도발적인 예술 실천의 형태를 가능케 한 범주로 작용되었다. 작가들은 그룹과 혹은 개인으로 기존의 회화, 조각의 영역을 벗어나 오브제와 설치, 해프닝, 이벤트와 영화, 비디오를 포함한 다양한 새 매체들을 ‘실험미술’의 이름으로 포괄하며, 역동적인 사회 현상을 반영하였다. 이 새로운 흐름은 «청년작가연립전»(1967)에서 촉발되고 확산되었으며, 1970년대 ‘AG’(한국아방가르드 협회)에서 집결되고 본격화되었다. 이후 ‘제 4집단’, ‘ST’, «대구현대미술제» 등에서 다양한 면모를 보이며, 한국의 전위미술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성공적인 경제개발에서 파생된 물질적 풍요와 메가시티로 탈바꿈한 서울을 작품 창작의 기반으로 활용하였다. 또 인간소외를 비판하면서, 물질과 도시 미학을 탐닉했으며, 심지어 ‘전통’의 전복을 통해 전위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한국적 특성을 선 보였다. 또 해외 비엔날레에 참여하며 1960-70년대 공존했던 미술 운동과의 영향 관계를 국제적 맥락에서 확인하고, 글로벌 미술계의 다원성 확장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는 유신정권이 불온한 ‘퇴폐 미술’로 지목하여 이들의 정신과 신체를 통제하고, 추방하기 전까지 지속되었으며, 1970년대 저항 문학, 가요, 영화 등과 함께 ‘청년 문화’를 형성하며, 당대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 나갔다. 그리고 늘 세계 속의 ‘나’와 ‘나의 한국’을 꿈꾸었다. 이들의 꿈은 오늘날 ‘한류’라는 이름으로 영화, 문학, K-pop 과 함께 세계적인 문화 현상 속에 함께 하고 있다. 또 동시대 한국현대미술의 원형(原型)으로 소환될 뿐만 아니라, 글로벌 미술사의 층위를 다양화시키며 서울과 뉴욕, LA의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는 또 다시 대 전환의 시대를 요구받고 있다. 기후변화와 펜 데믹, 4차 산업혁명과 거대 자본의 위기 속에 놓여있다. 이에 지금 ‘젊은 그들’을 소환하며 외쳐본다.
우리는 이제 또 어떤 새로운 존재질서와 확장된 감성의 지평을 펼쳐나갈 것인가? 청년이여. 선언하라.
출처: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Untitled (Skull) - 75101
1975
Serigraph on Acrylic board
21x16in (54.5x41.5cm)
<이강소. 최병소>전, 시립도서관화랑, 대구, 1975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Untitled - 75103
1975
Serigraph on Acrylic board
21x16in (54.5x41.5cm)
<이강소. 최병소>전, 시립도서관화랑, 대구, 1975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Untitled - 75104
1975
Serigraph on Acrylic board
21x16in (54.5x41.5cm)
<이강소. 최병소>전, 시립도서관화랑, 대구, 1975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Untitled - 75105
1975
Serigraph on Acrylic board
21x16in (54.5x41.5cm)
<이강소. 최병소>전, 시립도서관화랑, 대구, 1975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Untitled - 75111
1975
Serigraph on Acrylic board
21x16in (54.5x41.5cm)
<이강소. 최병소>전, 시립도서관화랑, 대구, 1975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Painting 78-1
1977
Single-channel Video
29’ 45’’
《제4회 대구현대미술제》, 대구시민회관갤러리, 대구, 1978
《비디오아티스트 1978: 김영진, 박현기, 이강소, 최병소》,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4
《과천관 30년 특별전: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6부산비엔날레 Project 1: 아시안 아방가르드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소멸》, 갤러리현대, 서울, 2018
《비커밍》, 팔라쪼 카보토, 베니스, 이탈리아, 2019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The 4th Daegu Art Festival, Daegu Cultural Center Gallery, Daegu, Korea, 1978
Video Artists 1978: Kim Young-Jin, Park Hyun-Ki, Lee Kang-So, Choi Byung-So,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Korea, 2014
30 Years 1986-2016: As the Moon Waxes and Wane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2016.8.19-2017.2.12.
Busan Biennale 2016 Project 1: an/other avant-garde china-japan-korea, Busan Museum of Art, Busan, Korea, 2016.9.3.-11.30.
Disappearance, Gallery Hyundai, Seoul, Korea, 2019
Becoming, Palazzo Caboto, Venice, Italy, 2019 Collection of MMCA, Seoul, Korea,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Daegu Art Museum, Daegu, Korea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Collection of MMCA, Seoul, Korea
무제 - 75031
Untitled-75031
1975
Wood, Cock, Met, Plaster, Iron, Chalk, Photo
137.7x137.7x9.8in (350x350x25cm)
《제9회 파리 비엔날레》, 프랑스 국립미술관, 파리, 1975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Ⅱ: 환원과 확산의 시기》, 한원갤러리, 서울, 1991
《개관기념-한국의 추상미술 1969년대 전휘의 단면》, 서남미술전시관, 서울, 1994
《이강소》, 시공갤러리, 대구, 2000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중반 전환과 역동의 시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1
《2014 부산비엔날레 아카이브 특별전 – 한국현대미술 비엔날레진출사 50년》, 2014
《2016부산비엔날레 Project 1: 아시안 아방가르드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현대미술사전: 7 키워드》,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2018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대구미술관, 대구, 2018
『더 리버 이즈 무빙』, 선재미술관, 경주, 2003.3.28-6.15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9th Biennale de Paris,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1975
A Grouping for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The Art in the ‘Reduction’ and ‘Expansion’ Period, Hanwon Gallery, Seoul, Korea, 1991
The Beginning of Korean Modern Art, Seonam Gallery, Seoul, Korea, 1994
Lee Kang-So, Ci Gong Gallery, Daegu, Korea, 2000
Korea Contemporary Art from mid-1960s to mid-1970s: A Decade of Transition and Dynamic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2001
2014 Busan Biennale Archive Special Exhibition: Voyage to Biennale – 50 years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Overseas Biennales, 2014
Busan Biennale 2016 Project 1: an/other avant-garde china-japan-korea, Busan Museum of Art, Busan, Korea, 2016.9.3.-11.30.
Contemporary Art Dictionary: 7 Keyword, Jeonbuk Museum of Art, Jeonbuk, Korea, 2018
Renegades in Resistance and Challenge, Daegu Art Museum, Daegu, Korea, 2018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Lee Kang-So: The River is Moving』, Artsonje Museum, Gyeongju, Korea, 2003.3.28-6.15
Collection of MMCA, Seoul, Korea
Disappearance
1973
8 tables, 16 chairs, 2 standing boards, display case, makgeolli, octagonal matchbox, cigarette, silver ashtray, old calendar
590x314.9x118.1in (1500x800x300cm)
《소멸》, 명동화랑, 서울, 1973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중반 전환과 역동의 시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1
《세상에 눈뜨다: 아시아 미술과 사회 1960s - 1990s》,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도쿄국립근0000 대미술관, 도쿄, 국립싱가포르미술관, 싱가포르, 2018-19
《소멸》, 갤러리현대, 서울, 2018 (재현)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2024
Disappearance, Myungdong Gallery, Seoul, Korea, 1973
Korea Contemporary Art from mid-1960s to mid-1970s: A Decade of Transition and Dynamic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2001
Awakening: Art in society in Asia 1960s - 1990s, MMCA Gwacheon, Korea;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Tokyo, Tokyo, Japan; National Gallery Singapore, Singapore, 2018-19
Disappearance, Gallery Hyundai, Seoul, Korea, 2018 (Represented)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MMCA Seoul, Korea,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MMER MUSEUM, LA, USA, 2023-2024
강국진, 김구림, 김영진, 김인환, 김차섭, 김한용, 남상균, 문복철, 박현기, 송번수, 서승원, 성능경, 신학철, 심문섭, 여운, 이강소, 이건용, 이승조, 이승택, 이태현, 이향미, 이현재, 임응식, 정강자, 정찬승, 최명영, 최붕현, 최병소, 하종현, 한영섭
Kang Kukjin, Kim Kulim, Kim Young-Jin, Kim In Hwan, Kim Cha Seob, Kim Han Young, Nam Sang Gyun, Moon Bok Cheol, Park Hyun Ki, Song Burn-Soo, Suh Seungwon, Sung Neung Kyung, Shin Hak-Chul, Shim Moon-Seup, Yeo-un, Lee Kang-So, Lee Kun-Yong, Lee Seung-Jio, Lee Seung-Taek, Lee Tae Hyun, Lee Hyang-Mi, Lee Hyun Jae, Lim Eung Sik, Jung Kangja, Chung Chanseung, Choi Myoung-Young, Choi Boong Hyung, Choi ByungSo, Ha Chong-Hyun, Han Young S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