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 共鳴_자연이 주는 울림

장소

전시명: 공명 共鳴_자연이 주는 울림 
작가: 김환기, 김창열, 김종영, 박서보, 윤형근, 이강소, 이우환, 이배, 정상화, 정창섭, 하종현
장소: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서울, 한국
기간: 2021.03.16-2021.06.30

 

Title: Gongmyeong: Resonance
Artist: Chung Chang-Sup, Chung Sang-Hwa, Kim Chong-Yung, Kim Tschang-Yeol, Kim Whan-Ki, Lee Bae, Lee Kang-So, Lee Ufan, Park Seo-Bo, Yun Hyong-Keun, Ha Chong-Hyun
Venue: Horim Museum, Seoul, Korea
Dates: 16.03.2021-30.06.2021

기간
2021-03-16 - 2021-06-30
Body

과거나 현재나 ‘자연(自然)’은 미술 창작의 가장 큰 자양분이었다. 특히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자연과의 합입(合一)을 통해 이상적인 세계에 이르고자 하였다. ‘물아일체(物我一體)’와 ‘와유(臥遊)’와 같은 노자(老莊) 사상은 산수(山水) 그림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다. 자연물이 가진 고유한 성품에 인격(人格)을 부여하고 그것을 본받고자 한 옛 사람들의 마음은 사군자(四君子) 그림과 글씨로 시각화되기도 하였다. 자연의 본성을 따르는 ‘무위(無爲)’적 행위는 동양 미술 특유의 창작관(創作觀)이라고 할 수 있다. 대교약졸(大巧若拙)이라는 말처럼 서툰 것이 오히려 아름다울 수 있다는 반전의 묘를 보여주기도 한다. 토기(土器)와 흑자(黑磁)와 같은 옛 도자기들은 자연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물성을 긍정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위와 같은 ‘자연’을 중시한 전통적 창작 행위가 과거의 유산에 머물지않고 연면히 이어져 현대 작가들의 작품 창작에도 큰 자양분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자연’을 주제로 작품을 창작한 현대 작가에는 수화 김환기(1913~1974)를 시작으로      김창열(1929~2021), 정상화(1932~ ), 이강소(1943~ ), 박서보(1931~ ), 윤형근(1928~2007), 김종영(1915~1982), 이우환(1936~ ), 정창섭(1927~2011), 이배(1956~), 하종현(1935~ )을 선정하였다(순서는 전시작품순). 이 작가들은 있는 그대로를 긍정한 무작위적(無作爲的) 행위를 통해 물아일체의 궁극적 세계를 체득(體得)하고 자연으로 회귀(回歸)하여 자연과 하나가 되고자 하였다. 〈공명_자연이 주는 울림〉전은 ‘자연에 머물다’, ‘자연을 품다’, ‘자연을 따르다’라는 세 개의 소주제로 구성되었다. 전시 공간은 ‘자연’과 하나가 되고자 한 과거와 현대가 조응(照應)하여 하나의 울림으로 승화될 것이다. 요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과 사람 사이에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이 무색해진 시대이다. 사람과의 관계가 소원해진 지금, 자연을 주제로 삼은 이 전시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친 시민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해 본다.

 

출처: 호림아트센터 홈페이지

Image
호림(공명)
Image
호림(공명)4
참여 예술가

김환기, 김창열, 김종영, 박서보, 윤형근, 이강소, 이우환, 이배, 정상화, 정창섭, 하종현
Chung Chang-Sup, Chung Sang-Hwa, Kim Chong-Yung, Kim Tschang-Yeol, Kim Whan-Ki, Lee Bae, Lee Kang-So, Lee Ufan, Park Seo-Bo, Yun Hyong-Keun, Ha Chong-Hyun